;

“그저 격리”…생활치료센터 역할 의문 가중

전국 입력 2021-08-25 20:49 수정 2021-08-26 14:14 김수빈 기자 0개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


[앵커]

경증 환자들을 모아 치료하고 관리하는 생활치료센터의 역할에 대한 의문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생활치료센터 내 연달아 사망자가 나오고 제대로 치료받지 못한 사람들이 많아 기피 현상이 늘고 있는데요. 김수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가벼운 증상의 코로나 환자들을 모아 관찰하고 치료하는 곳인 생활치료센터.


코로나 바이러스의 특성상 카카오톡으로 모니터링하며 원격치료로 환자 몸상태를 체크하는 곳이 대부분입니다.


그러다보니 증상이 발현해도, 별다른 관리가 없었다는 입소자들의 증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코로나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한 두 명이 연달아 사망해 생활치료센터 운영 시스템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전 입소자 A씨는 "2주 내내 고열 등으로 아팠지만 치료센터에 갇혀있을 뿐 제대로 치료받은 적이 없다"며 "렘데시비르도 부족하다는 이유로 공급을 못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전 입소자 B씨 역시 가슴 통증을 호소했지만, 돌아오는 대답은 "자세를 고쳐 앉아보아라"였습니다.


치료센터에 있는 약은 타이레놀과 코데날시럽, 항생제 등이 전부.


렘데시비르 등 코로나19 치료제는 초기에 맞아야 더 효과가 있다는 전문가의 의견이 있지만, 사실상 폐렴 등 중증 환자를 우선적으로 투여하기 때문에 생활치료센터에서 보기는 힘듭니다.


엑스레이 촬영은 할 수 있어도, 폐렴 진단을 위한 컴퓨터단층 촬영(CT)도 이뤄지지 않아 경증 환자의 증상 악화를 막기 위한 대책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에 생활치료센터를 기피하며, 경증이나 무증상일 경우 차라리 자가에 머무는 게 더 효율적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생활치료센터의 본 목적은 경증 환자 대상 '격리'이며, 추후 상황에 맞춰 변화는 필요하지만 그 유용성에 대해 의문을 던질 필요는 없다고 설명합니다.


[인터뷰] 이재갑 한림대 감염내과 교수


"지역사회 내 확진자를 두지 않겠다라는 목적으로 만들어 놓은 거죠. 비대면 진료의 형태로 하다 보니까 급격히 나빠진 환자를 못 골라내는 수는 있지만, 적어도 환자가 나빠지고 있는지 아닌지는 모니터가 가능한 거죠."


확진자 네 자릿수가 50일째 이어지고 있는 만큼 의료 인력 확충 및 응급 환자 대응 메뉴얼 등 생활치료센터 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서울경제TV 김수빈입니다.


/kimsoup@sedaily.com


[영상취재 이창훈 / 영상편집 이한얼]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김수빈 기자 금융부

kimsoup@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아시아창의방송

0/250

주요뉴스

증권 산업·IT 부동산 금융

ON AIR 편성표

0/250

주요뉴스

증권 산업·IT 부동산 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