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기성의 날씨와 경제] “커지는 식량 안보 우려, 스마트팜이 해법”

경제 입력 2022-05-23 21:05 enews2 기자 0개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앵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여기에 미국, 호주, 남미의 심각한 가뭄으로 인한 밀 부족으로 식량가격이 폭등하고 있습니다.

곡물자급률이 매우 낮은 우리나라로서는 이에 대한 다양한 대책이 필요해 보이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식량부족을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케이웨더 반기성 센터장 나왔습니다.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의 경우 밀 자급률은 어느 정도 되나요?

 

[반기성 센터장]

우리나라의 경우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기준 한국의 식량자급률은 45.8%로 국내인구의 식량 절반 이상이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사료용 곡물까지 포함한 곡물자급률은 21% 수준입니다. 채소류, 과실류, 육류 등의 자급률도 2010년 대비 3.5~6.9%까지 떨어졌는데요. 곡물 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품목은 밀입니다.

 

이미 ‘제2의 국민주식’으로 자리매김했지만 밀 자급률은 2010년 이후 한 번도 2%를 넘어선 적이 없었고. 2010년 1.7%였던 밀 자급률은 2019년 오히려 0.7%까지 떨어졌지요. 그러니까 밀로 만들어지는 빵이나 라면 등의 가격상승은 필연적이라고 보아야 합니다. 밀, 옥수수, 콩 등 곡물은 미국, 중국 등으로부터 전적으로 수입해 충당해야만 하는 세계 최상위의 곡물 수입국인데요. FAO에서 권장하고 있는 적정재고량 수준을 유지하지 못하는 곡물 수급이 불안정한 나라입니다. 그러니까 우리나라는 무역전쟁이나 팬더믹 등과 같은 상태가 오면 식량문제가 매우 취약할 수밖에 없지요.

 

[앵커]

이런 식량문제가 단시간에 해결되기는 어렵겠지만 대응능력을 높여나가야 하지 않을까 생각되는데요

 

[반기성 센터장]

그렇습니다.

 

중국이나 일본의 경우 아프리카나 아시아의 가난한 나라에서 땅을 구입하여 농사를 지어 곡물을 자국으로 보내는 방법을 활용하는데요. 우리나라도 마다가스카르의 땅을 사려다가 실패로 돌아간 적이 있습니다.

 

땅을 구입하지 않고 빌려서 농사를 지은 다음 곡물을 국내로 들여오는 방법도 있는데요. 일부 대기업들이 현재 만주등에서 이런 방법으로 곡물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런 방법외에 식량 생산효율 증대 기술에 대한 개발에도 박차를 가할 필요가 있는데요. 우리나라는 나라가 좁아 경작지를 넓히기 어려우므로 단위 면적당 생산되는 식량이 늘어나야만 하거든요.

 

이를 위해 스마트 농업 등 ICT기술이 접목되는 농업으로 빨리 바뀌어야만 합니다. 스마트 농업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이 접목되어 농작업의 무인화·지능화가 구현되고, 전통적인 농업의 투입요소인 노동력, 지식, 경험 등을 인공지능이 대신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LG CNS는 축구장 76배 크기의 스마트팜을 전남 나주에 만들었는데요. LG CNS는 농사의 모든 과정을 통합 관리하는 스마트팜 지능화 플랫폼을 개발했는데요. 감자 농사 시 토양 데이터와 감자의 생육 데이터를 분석해 적정 비료 공급량과 시기를 알려주고 토양의 습기 정도와 예보에 따라 물 공급일정도 알려줍니다. 유해 조수 퇴치용으로 레이다와 인공지능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허수아비’도 운영하고, 무인 트랙터·드론·이앙기 등 무인 농기계 관리 서비스도 제공하는 농업입니다. 앞으로 LG CNS는 아파트형 스마트팜, 옥상 스마트팜, 첨단 유리온실 등을 구축하며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해요.

 

[앵커]

식량안보에 취약한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식량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팜 도입이 꼭 필요해 보이는데요.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적인 스마트 농업 현황은 어떻습니까?

 

[반기성 센터장]

그렇습니다. 전 세계 농업 선진국은 지리적 특성을 고려해 자국 환경에 맞는 방식으로 스마트 농업을 전개 중인데요.

 

미국은 정밀농업, 빅데이터 등 스마트 농업 관련 기술에 대한 R&D를 오래 전부터 추진해왔으며, 노지 농업에 대한 스마트화와 데이터 라이브러리 축적에 강점이 있습니다.

 

EU(유럽연합)는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 농민, 전문가, 기업, NGO 등 각 주체가 연계된 국제적 협력연구를 수행 중이구요, 네덜란드는 작은 면적의 토지에서 생산성을 높이고자 시설원예 농업, 과수, 축산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첨단 농업 시스템을 구현하고 농업 전 밸류체인에 걸친 고부가가치화를 꾀하며 성장하고 있습니다.

 

일본도 정부 지휘하에 민관 합동 및 연구기관의 협업으로 데이터에 기반을 둔 스마트 농업의 개발 및 실용화를 추진 중에 있습니다. 중국도 거대 내수 시장을 기반으로 정부, 민간의 강력한 사업 추진을 바탕으로 전 세계 스마트 농업시장을 빠르게 추격중에 있구요.

 

우리나라는 국가적으로 스마트 농업에 뒤늦은 감이 있는데요. 현재 농업부분의 1%정도만이 스마트 농업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에 올 1월에 정부는 ‘스마트팜’을 8대 혁신과제로 선정 후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 스마트농업 보급 확산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스마트농업을 인공지능 등으로 고도화하면서, 농가 보급을 촉진하고 관련 제품의 수출 확대 등 성과를 창출해 나갈 계획인데요. 이를 위해 ①농업 빅데이터·인공지능 인프라 구축, ②스마트농업 거점 육성, ③기술·인력 및 장비 지원 강화, ④한국형 스마트팜 수출 활성화를 핵심으로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기자 전체보기

enews2 기자 인터넷뉴스팀

enews2@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아시아창의방송

0/250

주요뉴스

증권 산업·IT 부동산 금융

ON AIR 편성표

0/250

주요뉴스

증권 산업·IT 부동산 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