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지역, 화물연대 2차 파업에 따른 지역 경제계 파급 크다

전국 입력 2022-12-01 14:09 김정옥 기자 0개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건설업 및 철강업종, 대체 운송 수단이 없어 건설현장 중단

기업 대다수, 정부의 강경대응보다는 원만한 협상 원해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사진 제공=부산항 컨테이너운영사]

[부산=김정옥 기자]화물연대의 2차 파업에 따라 지역 기업들의 생산 및 건설 공사 현장 중단 등 피해가 가시화되고 있다

 

다만 일부 업종의 경우 아직까지 자구책을 통한 대응이 가능한 경우도 있으나 파업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상공회의소는 1일 화물연대 2차 파업에 따른 지역 경제계 파급 영향 긴급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역의 주요 수출입 제조기업과 건설업, 운수업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철강, 건설, 레미콘 등의 업종에서 제품 출하가 전면 중단되거나 공사 현장이 셧다운 되는 등 피해정도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들 업종의 경우 대체 운송 수단을 찾기 어렵고 별도의 자구책 마련도 어려운 실정이라 파업기간 내내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화물연대 파업에 따른 파급영향은 업종 및 생산 제품에 따라 피해 상황 및 대응방안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중공업인 철강, 건설, 레미콘 등의 업종의 경우 원자재 또는 제품의 크기로 인해 컨테이너 또는 대형 화물 차량이 아니면 운송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가장 큰 피해를 입고 있다.

 

별도의 대체 운송 수단을 찾기 어려운 반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원자재 및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의 경우 파업이 사전 예고된 때부터 미리 대응해 대체 운송 수단을 구하는 데 상대적으로 원활한 모습이다.

 

레미콘 제조업체인 A사는 주원료인 시멘트 공급 차질로 피해 우려가 컸다.

 

평상시 보유하고 있던 2~3일분의 재고가 이미 소진돼 공장 가동 중단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정부의 강경대응으로 인한 사태 장기화보다 원만한 협상을 통한 사태 종결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업이 주말을 끼고 이뤄져 아직까지 큰 피해가 가시화되지 않은 기업의 경우에도 사태가 장기화될 시에는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건설업계는 시멘트 재고 바닥에 따른 레미콘 생산 중단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시멘트 공급이 중단됐으며 업체들이 자체 보유한 재고도 하루분, 혹은 많아 봐야 2~3일 분량에 불과해 이미 바닥나 레미콘 제조 자체가 중단된 상황이다.


B
사는 레미콘 등 건자재 수급 중단으로 공사 중단 현장이 발생했다. 사태가 장기화 될 경우 모든 현장에서 공사가 중단될 것을 우려했다.

 

A사와 B사 모두 화물연대 비소속 운수종사자를 통해 화물운송을 시도했으나 화물연대의 견제와 강압으로 인해 이마저도 쉽지 않다고 응답했다.

 

철강, 조선기자재업계는 파업으로 인해 제품 출고가 전면 중단되는 등 가장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으며 보관 장소 부족 등으로 생산마저 중단되는 등 셧다운 위기에 놓여 있다.

 

대체 운송 수단이 거의 없어 파업이 종료되기만을 기다리고 있으며 별도의 자구책 또한 없는 실정이다.

 

철강 업체인 D사는 파업이 시작된 지난 주 부터 물류가 중단되었고, 제품보관 장소도 마땅치 않아 생산 자체가 중단된 상황이다.

 

또 다른 철강 업체인 E사는 원자재 반입은 아직까지 문제가 없으나 철근 및 반제품 출하를 위한 비화물연대 소속 화물차량 수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반면 원자재 및 제품 크기가 작은 조립금속, 정밀기계, 섬유 등의 업종은 파업으로 인한 물류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덜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들 업종도 사태 장기화 시에는 물류 차질로 인한 생산과 납기준수에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화학, 자동차업종의 경우 이번 주까지는 큰 차질이 없지만 다음 주부터 원자재 반입 등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생산량 감소와 납기 지연 등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내수 물량보다는 수출입 물량에서 더 큰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정부의 강경대응에 대해서도 개별 기업의 상황에 따라 온도의 차이가 있었다.

 

대다수 기업들은 정부의 강경대응이 파업사태의 장기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정부가 전향적인 자세로 협상에 나서서 기업의 손실을 최소화 해주길 희망했다.

 

반면 이미 생산 차질이 본격화된 기업들의 경우에는 업무복귀명령 등 강경책을 써서라도 조속하게 물류 정상화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제품 출하가 중단된 철강업체 F사의 경우 시멘트 분야뿐만 아니라 철강 분야까지도 정부가 속히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해 주기를 바랐다.

 

부산상의 기업동향분석센터 관계자는 파업초기에는 업종 및 생산 제품에 따라 각 기업들이 체감하는 피해 상황이 다를 수 있지만 파업사태가 길어지면 전 업종에 막대한 피해가 누적된다면서 특히 수출제조기업 비중이 높은 부산의 경우 수출납기를 제대로 이행하지 못할 경우 어렵게 확보한 해외거래선을 놓칠 수도 있는 만큼 정부와 화물연대 양 측의 대승적인 타협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kjo571003.naver.com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사진 제공=민노총 화물연대]


#Tag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김정옥 기자 보도본부

kjo571003@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아시아창의방송

0/250

주요뉴스

증권 산업·IT 부동산 금융

ON AIR 편성표

0/250

주요뉴스

증권 산업·IT 부동산 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