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보험 만기전 계약을 해지하고 받아간 ‘해지 환급금’이 지난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위험에 대비하는 보험을 가장 많이 해지했는데요 그만큼 가계 살림이 팍팍해진 것으로 분석됩니다. 김미현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생명보험 해지환급금이 2002년 집계 이래 가장 많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생명보험 해지환급금액 규모는 52조원. 지난해 4분기만 따졌을 경우에도 약 23조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두배 이상 늘었습니다.
보험해지 상당수가 가계살림이 어려워졌기 때문인데, 이 조사가 지난해 4분기라는 점에서 예사롭지 않게 보고 있는 분위깁니다.
걱정스러운 것은 경제 허리층으로 꼽히는 40~50대의 해지 비중이 다시 증가세를 보이는 점입니다.
4분기 기준으로 2020년 56%였던 40~50대 비중은 2021년 51%대로 내려왔지만 지난해 54%대로 다시 올라왔습니다.
이 조사에서 40대는 보험료 내는게 힘들다는 이유로, 50대는 '목돈'이 필요하는 이유로 보험을 해지했습니다.
또 60대 이상 연령층에서도 '목돈' 필요를 이유로 해지가 증가했는데 이는 최근 3년래에 가장 큰 규모였습니다.
또 보험해지한 사람들의 보험 상품을 보니 상당수가 불의의 사고를 대비해 가입하는 보장성보험을 가장 많이 해약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납입기간이 길고 매달 보험료가 비싼 종신보험 해약이 가장 많았을 거로 업계는 추정하고 있습니다.
[싱크] 김헌수 / 순천향대 IT금융경영학 교수
"대부분 종신보험이겠네요. 종신보험은 (내는) 보험료가 좀 많고요. (또) 사망해야지 혜택을 받는데 사망은 굉장히 멀리 있는, 당장의 리스크는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죠."
해지환급금 급증은 가계의 의료비 등 사회적 비용 증가와 보험사 수익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금융당국과 보험사들이 이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방안을 더 철저히 모색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입니다. / kmh23@se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Tag

김미현 기자 금융부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주요뉴스
주간 TOP뉴스
- 1 뉴욕증시, 반발매수세 유입에 일제히 반등…나스닥 0.45%↑
- 2 [인사] 현대해상
- 3 삼성엔지니어링, 중동서 날개…수주 잇따라
- 4 롯데건설, 4개 상품 2023 '굿디자인 어워드' 선정
- 5 “노트북도 접는다”…LG전자, 첫 폴더블 노트북 공개
- 6 유준원 상상인 대표, ‘K-ESG 경영대상’ 수상…금융 소외계층 포용
- 7 견본주택·홍보관에서 ‘추캉스’하며 내집마련 해볼까
- 8 [반기성의 날씨와 경제] 12만년 만에 가장 더운 지구…생명위협 수준
- 9 추석 이후, 전국서 4.7만 가구 청약접수 돌입
- 10 도봉·관악·동작 등 5곳 모아타운 선정…총 75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