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각·매립업계, 시멘트업계에 사과요구 성명서 발표

S생활 입력 2020-06-16 18:00 수정 2020-06-16 18:01 유연욱 기자 0개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시멘트업계 "소각·매립은 환경오염유발 촉진"

사진= 위원회 제공

최근 시멘트업계가 폐기물 소각·매립 처리에 대해 환경오염 유발을 촉진하고 있다고 발언하며 소각·매립 업계가 크게 들고 일어섰다. 시멘트업계 측은 폄하 의도는 없었다고 해명했지만, 소각·매립 업계는 법적대응까지도 고려하겠다는 입장이다.

 

16일 재활용방치폐기물 고통분담 비상대책위원회(이하 위원회) '시멘트 업계의 폐기물 소각·매립 명예훼손 행위 사과 요구'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위원회는 폐기물 소각·매립 업계 단체로 구성됐으며 박무웅 자원순환에너지공제조합 이사장과 이민석 산업폐기물매립협회장, 안병철 의료폐기물공제조합 이사장이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다.

 

앞서 시멘트 업계는 협회 홈페이지와 언론보도 등을 통해 "폐기물을 소각·매립 처리하면 대기오염물질이 과다배출되고 2차 환경오염유발을 촉진한다" "이는 국가자원순환정책에 배치되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위원회는 시멘트 업계에 이 같은 발언을 삭제하고 사과해달라 요구했으나 시멘트협회 측은 폄하의 의도는 없었다며 사과를 회피한 것으로 전해진다.


사진= 위원회 제공

위원회에 따르면, 소각·매립업계는의성 '쓰레기산' △라돈 방사능 폐기물구미 불산 폐기물태안 유조선폐기물 등 국가적 재난상황 발생시 자신들의 역할을 다하며 국민 불안을 해소하는 데 일조해왔다.

 

올해에는 코로나19 폐기물의 안정적 처리를 위해 권역별로 긴급처리 업체를 지정 투입했다. 이와 함께 자체적으로 '재난폐기물처리지원반'을 구성해 코로나19 폐기물의 우선처리를 독려 중이다.

 

또한 폐기물은 적법한 절차에 따라 소각하고 발생된 소각열은 스팀과 전기에너지로 재생산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발생된 소각재 역시 안전하게 매립해 관리하는 등 이상적이고 모범적인 자원순환 시설을 구축했다. 국내에서 가장 높은 오염물질 배출 기준을 적용받고 있음에도 40년 이상 꾸준한 개발·투자를 통해 이를 준수할 수 있는 시설과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위원회 측은 "이번 시멘트 업계의 발언은 소각·매립 업계의 존재가치까지 폄훼하는 것"이라며 "시멘트의 폐기물 처리 확대를 정당화하기 위해 소각·매립업계의 폐기물 처리를 자원낭비로 비하하는 것은 아닌지 의심된다"고 주장했다.

 

한편, 위원회 측은 폐기물 시멘트 혼합과 소각·매립이 환경과 국민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본격적인 제도 개선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유연욱 기자 ywyoo@sedaily.com

 


기자 전체보기

기자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아시아창의방송

0/250

ON AIR 편성표

0/250

주요뉴스

증권 산업·IT 부동산 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