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경제TV=문다애 기자]
[앵커]
여러분은 청주와 약주의 차이를 아시나요? 원래 우리의 전통 맑은술이 청주인데, 일제강점기 잔재로 여전히 우리의 술이 잘못된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주세법 개정이 필요해 보이지만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습니다. 문다애 기자입니다.
[기자]
맑게 걸러낸 술을 뜻하는 청주(淸酒). 흐린 술 탁주와 대칭되는 술로, 원래는 우리 술의 일종을 부르는 말입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주 기법으로 만든 우리의 맑은 술을 청주라 부르지 못하고 약주라고 지칭하고 있습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일제가 만들어놓은 잔재 때문입니다.
일본이 우리 술과 일본 술의 세금 차이를 두기 위해 우리 술은 조선주, 일본 술은 청주라 하며 그중 우리의 맑은 술을 약주로 분류한 겁니다.
그런데 여전히 현행 주세법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지 않고 있습니다.
주세법을 살펴보면 전통누룩을 1% 미만 사용하면 청주, 1% 이상 사용하면 약주.
일본식 청주는 입국이라는 효모를 사용해 전통누룩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우리의 전통 맑은 술은 1% 누룩으로는 제조가 불가합니다.
결론적으로 현행 주세법이 규정하고 있는 청주는 일본 청주, 우리의 청주는 약주인 셈.
당초 약주는 약효가 있는 한약재 등이 들어간 술을 뜻하지만, 우리의 전통 맑은술이 이름을 빼앗겨 잘못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 겁니다.
이로 인해 현행 주세법의 누룩 사용량 기준은 청주와 약주와 구분하기 위해 만든 억지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인터뷰] 권희숙 국순당 주류개발팀 차장
“원래 문헌에 보면 우리 술은 다 청주라고 적혀 있어요. 그런데 지금은 청주라고 하지 못하고 약주라고 얘기를 하는 부분이 안타깝고요. 어떤 분들은 약재가 들어가는 술만 약주다라고 오해하시는 분들도 있고, 그런 부분들이 안타까운…”
우리의 전통 맑은 술과 일본식 청주는 원료와 만드는 방법이 달라 맛의 차이도 뚜렷합니다.
우리 맑은술 약주는 여러 가지 원료와 누룩을 사용해 다양하고 풍부한 맛을 지녔으며 누룩의 색을 담아 노란 빛깔을 띄는 반면, 일본식 청주는 단일 원료와 단일 누룩을 사용해 맛이 단조롭고 색이 없습니다.
이제는 일제의 잔재를 없애 우리의 전통 술이 잃어버린 이름을 되찾을 수 있도록 주세법 개정이 필요해 보입니다. 서울경제TV 문다애입니다./문다애기자 dalove@sedaily.com
[영상취재 이창훈/영상편집 강현규]

문다애 기자 경제산업부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주요뉴스
주간 TOP뉴스
- 1 코로나 끝 보인다…여행·항공주 뜰까
- 2 [SEN마감시황]코스피, 美 국채금리 안정세에 급반등 1.3%↑…장중 3,100선 근접
- 3 대신證, 보통주 1,200원 현금배당 결의
- 4 '아이오닉5' 유럽서 완판…'CV' 이달 공개
- 5 엠게임, 메타버스 최대 업체 유니티 게임 플랫폼 라이선스 계약 부각
- 6 GS건설 '자이안 비' 라이프스타일 업체들과 MOU…거주 환경 개선 확대
- 7 2월 수도권 집값 상승률 12년8개월래 최고
- 8 제넥신, 코로나19 백신 임상 2a상 진입…첫 대상자 투여 완료
- 9 중부 내륙 거점 ‘충주·제천’ 부동산 날개짓
- 10 아스트 子 에이에스티지, 800억원 규모 美공군 고등훈련기 동체 부품 공급 계약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