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증시]인플레發 경기 침체 우려 재부각…변동성↑

[앵커]
미국 유통업체들의 부진한 실적 발표에 인플레이션 공포가 재부각되며 글로벌 증시의 변동성이 커졌습니다. 국내증시 역시 강한 변동성을 보이며 2,600선 등락을 거듭했는데요, 한 주간의 증시 흐름 앵커리포틉니다.
[기자]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경기 침체 우려가 재부각되며 뉴욕증시는 약 2년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고, 코스피 역시 2,600선 등락을 거듭했습니다.
월마트 등 미국의 대표적인 대형 유통 업체들이 부실한 실적을 기록하면서 소비 둔화 우려가 커진 것으로 분석됩니다.
다만 오늘은 기관과 외국인의 매수세에 힘입어 코스피는 1.81%오른 2,639.29p에 마감하며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증권업계는 달러 강세가 둔화된 점이 외국인 수급을 긍정적으로 전환시켜, 코스피 상승을 이끌었다고 분석했습니다.
코스피는 한 주간 1.35%오른 2639.29p에 거래를 마쳤고, 코스닥 역시 3.14% 오른 879.88p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한 주간 수급 동향을 살펴보면 코스피는 외국인(+3,523억원)과 기관(+4,300억원)이 매수한 가운데 개인(-7,394)이 매도했고, 코스닥 역시 기관(+629)과 외국인(+867)이 매수, 개인(-1,361)이 매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주, HLB가 개발 중인 항암치료제 ‘리보세라닙’의 글로벌 상용화 시기가 임박했다는 기대감이 커지며, HLB그룹주들이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다음주는 미국 바이든 대통령 방한에 따른 반도체, 자동차, 2차전지 등의 업종들 모멘텀에 집중해야 한다”며 “대외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개별 기업들의 수익성에 주목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전했습니다.
서울경제TV 최민정입니다./choimj@sedaily.com
[영상편집: 채민환]

최민정 기자 증권부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주요뉴스
주간 TOP뉴스
- 1 지방 ‘대형사’ 브랜드 아파트에 몰리는 청약통장
- 2 LG유플러스, 동진테크윈에 AI 적용 스마트팩토리 구축
- 3 이노테라피, 비이식형 혈관접속용 기구 의료기기 제조인증 획득
- 4 GS이니마, 2.4조원 규모 오만 해수담수화 사업 본격화
- 5 7월 수도권 입주물량 '연내 최다'… 1.7만세대 공급
- 6 딥큐어·美 오쏘VR '맞손'…"임상의 교육용 VR 콘텐츠 개발"
- 7 HUG, 임대리츠 활성화를 위한 건설업계 간담회 개최
- 8 [SEN마감시황]코스피, 외국인 '사자'…2,400선 회복
- 9 한국조선해양, 필리핀서 7,449억원 규모 원해경비함 6척 수주
- 10 [단독] 강임준 군산시장 뇌물수수 고발 사건 경찰 수사 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