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학 상식] '회전근개 파열' 봉합 차별화로 후유증 줄일 수 있어

S생활 입력 2022-05-24 09:58 수정 2022-05-24 12:14 정의준 기자 0개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회전근개 파열은 어깨를 감싸고 있는 4개의 힘줄 근육 중 1개 이상이 파열되거나 끊어져 어깨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회전근개가 완전 끊어지지 않은 부분 파열일 경우에는 비수술적 치료로도 증상 호전이 가능하다.


하지만 6개월 이상 보존적 치료를 받았는데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거나 회전근개가 연결성 없이 끊어진 완전 파열일 경우 어깨 힘줄을 봉합하는 ‘회전근개 봉합수술’을 시행한다.


회전근개 파열 봉합수술은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최소절개술로 진행된다. 수술 부위에 0.5cm 정도의 작은 구멍을 내어 관절내시경을 삽입하고, 모니터로 관절 내부를 관찰하며 파열된 회전근개를 봉합한다.


문제는 회전근개 파열 수술 후 재파열 비율이 10~20%로 높다는 것이다. 환자 10명 중 1~2명이 재파열 되는 것으로 재발율이 높기 때문에 수술 집도의의 숙련도가 중요하다.


회전근개 파열 수술은 봉합 방법에 따라 단일 봉합법과 이중 브릿지 봉합법을 시행할 수 있다. 보편적으로 시행하는 회전근개 파열 단일 봉합법은 파열된 힘줄을 일렬로 봉합하는 것으로, 파열된 힘줄만 단순 봉합한다.


파열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 시행하면 예후가 좋은 편이지만, 파열의 크기가 클수록 재파열 빈도가 높고 파열 이전으로의 해부학적 재건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어깨 불안정성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이보다 발전된 이중 브릿지 봉합술을 많이 사용하는 추세다.


이중 브릿지 봉합술은 파열된 힘줄과 뼈 사이의 유격된 부위를 이중으로 봉합한 후, 그 위 힘줄을 한 번 더 덮어 봉합한다. 기존의 단순 봉합하는 단일 봉합법에 비해 접촉면이 넓어 안정적인 봉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회전근개의 재파열 빈도를 낮출 수 있다. 파열 크기가 크지 않을 경우, 브릿지 이중 봉합술을 시행하면 해부학적으로 파열 전 상태로 완벽한 복원이 가능해져 단순 봉합보다 재활기간 및 일상복귀 단축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정의준 기자 firstay@sedaily.com


도움말 : 고민석 가자연세병원 병원장(정형외과 전문의)

기자 전체보기

정의준 기자 디지털본부

firstay97@naver.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아시아창의방송

0/250

ON AIR 편성표

0/250

주요뉴스

증권 산업·IT 부동산 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