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하천 사고 5년새 1,100건…범람‧붕괴 피해액만 3천억 넘어

전국 입력 2022-10-29 08:53 금용훈 기자 0개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3년째 지방하천정비사업 국비 지원 無, 10개 시‧도 지방하천 정비 2조 5천억 지출

송재호 의원 [사진=송재호 의원실]

[제주=금용훈 기자] 지난 5년간 지방하천 사고 지역의 피해액이 3천억원이 넘었으나 지방하천 정비에 정부 지원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체계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송재호 의원
(제주시갑더불어민주당)이 전국 10개 시도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지난 2018년부터 올해 9월까지 조사된 지방하천 범람붕괴 사고 발생 건수는 1,126건에 이르고이로 인한 공공시설 또는 사유재산 피해액이 3,032억 6천만원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역별로는
 경기도 지역 지방하천에서 발생한 사고 피해규모가 1,552억 1천만원으로 가장 컸다전체 사고건수도 416건으로 가장 많았다뒤이어 충남 지역의 피해 발생액이 313억원으로 두 번째로 규모가 컸고경북지역은 지난달 발생한 냉천 사고를 포함해 296억 9,600만원으로 약 300억원에 달했다.


충북 지역의 피해규모는 
236억원강원도가 227억 5,600만원전북과 전남은 각각 182, 106억원으로 대부분 지역에서 5년간 100억원이 넘는 피해가 발생했다.


하천사고의 유형별로 살펴보면
제방의 붕괴나 유실에 의한 피해 규모가 2,410억 3,500만원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나머지 622억 2,600만원 상당의 피해는 이번 포항 냉천의 사례처럼 하천의 범람으로 인한 영향으로 나타났다발생 건수로는 전체 1,126건 중 붕괴 및 유실에 따른 사고가 852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범람은 274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도 정작 지방하천에 대한 정부의 지원과 역할은 미미한 실정인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 2020년부터 지방하천 정비사업은 지방분권의 일환으로 사업 주체가 정부에서 지자체로 이양돼 국비 지원이 중단된 상태다자연재해대책 사업 등의 명목으로 행해지는 일부 사업에 한해서는 국비가 지원되고 있으나주요 근거인 하천법에 따른 지방하천 정비사업은 온전히 시도의 몫이다.


이같은 상황은 재정분권 
1단계 법률 개정으로 국세인 부가가치세 중 지자체에 돌려주는 지방세 비중이 늘어나는 등 지방재정을 충당하는 근거를 마련했는데이후 지방의 재정이 증가한 점에 대해 기존 국비 지원 사업 중 일부를 조정하면서 생긴 일이었다이때 지방으로 이양된 사업 중 하나가 지방하천 정비사업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이전까지 지방하천 정비사업에 대해 국비가 50% 비중으로 지원됐던 점에 비하면 지자체의 부담이 2배 정도로 늘어난 셈이라 볼 수 있다.


실제로 지난 
3년간 10개 시도에서 지방하천 정비에 투입된 예산은 모두 지자체의 지방비로 이뤄졌다연도별 일부 차이를 감안해 10개 시도 기준으로 산출한 지방하천의 개수는 평균 3,400개로 3년간 지출한 하천정비 관련 지방예산만 2조 5천억원이 넘었다.


그렇지만 지방하천의 정비율은 여전히 
5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올해 기준으로 10개 시도의 지방하천 전체정비대상 구간은 28,001km지만 정비가 완료된 구간은 14,138km 수준에 그쳐 정비율은 50.5%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지방하천의 정비율은 턱없이 낮은 상황에서 정비사업에 대한 국비 지원이 중단된 
2020년부터 각 시도는 지방비에만 의존해 정비를 진행할 수밖에 없었다그사이 공교롭게도 지방하천의 범람과 붕괴 사고는 급격히 증가한 것이다.


실제로 지난 
5년간의 사고 건수와 피해액을 연도별로 분석해보면, 2020년 이후의 사고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았다최근 5년 중 2020년이 피해액이 2,284억 2,700만원에 635건의 사고로 가장 많았다. 2020년 이후 3년간의 피해액으로 보면 2,731억원으로 5년간 피해 규모의 90%를 차지했다사고 발생 건수로 봐도 2020년부터 올해까지 발생한 사고 건이 962건으로 전체 사고 발생의 85%에 달했다.


한편
같은 기간 붕괴나 유실범람의 사고가 발생한 구간의 총 길이는 382.17km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이는 서울에서 해남땅끝마을까지의 직선거리보다도 긴 길이로 지방하천 사고의 영향 범위가 전국적인 규모임을 짐작하게 한다.


이에 대해 송 의원은 "
올해 기록적인 폭우가 많았고기후위기에 따라 그 빈도는 점점 늘어나는 상황 속에 지난번 태풍 힌남노로 인한 포항 냉천의 범람 사고는 지방하천 사고의 위험성을 온 국민이 체감케 했다"라며, "그런데 냉천 사례뿐만 아니라 지난 5년간 지방하천의 범람과 붕괴로 인한 피해 규모가 3천억원을 넘을 만큼 지방하천 사고의 위협이 늘 존재하고 있어 문제다"라고 지적했다.


송재호 의원은
"지방하천 사고는 곧 국민의 생명과 재산의 피해로 직결되기 때문에 이는 재난에 대비해야 하는 국가의 의무 영역에도 포함되므로지방하천 정비에도 기본적으로 정부의 의무가 이행될 수 있도록 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jb007@sedaily.com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금용훈 기자 보도본부

jb007@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아시아창의방송

0/250

ON AIR 편성표

0/250

주요뉴스

증권 산업·IT 부동산 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