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기획]금융이 바뀐다…금융 신사업에 도전하다

[앵커]
금융규제 혁신정책에 따라 올해 금융사 업무 범위가 금융을 넘어 비금융 및 플랫폼 등으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이에따라 금융권은 올해를 기점으로 각종 신사업 추진에 도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김미현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금융당국은 금융사의 비금융 진출을 제한한 금산분리 규제를 일부 풀겠다고 밝혔습니다.
금산분리에 따라 현재 은행과 보험사, 저축은행은 비금융사 지분을 15% 넘게 보유할 수 없습니다.
당국은 올해 이를 완화해 은행 등 금융사들의 자회사 및 부수업무의 제한을 대거 푸는 방안을 모색 중입니다.
이렇게 되면 금융권도 각종 생활서비스 사업에 진출해 거대해진 빅테크, 핀테크 기업들과 자유롭게 경쟁할 수 있게 됩니다.
[싱크] 이대기 / 한국금융연구원 금융혁신연구실장
"기능적으로 봤을 때 영업 쪽에 테크가 할 수 있는 건 은행도 할 수 있게 해달라, 금융부분에 관해선 그 부분이 아주 이슈가 될 겁니다."
올해 금융권은 금융과 비금융을 연계해 다양한 신사업을 추진하는 한 해를 보낼 것으로 전망됩니다.
4대 금융지주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금융과 접목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영역에 대해 다각도로 기회를 보고 있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업권별로는 은행은 모빌리티, 부동산, 가상자산 등 다양한 비금융 플랫폼 사업을 직접 추진해 데이터 기반을 넓힐 전망입니다.
카드사는 소비관리가 가능한 생활 금융플랫폼으로의 고도화를 위해 상거래 업체와의 제휴나 투자가 늘고, 보험사는 헬스케어 플랫폼 운영에 힘 쏟을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혁신 금융이 나오기 위해서는 사업하기 좋은 환경이 계속 만들어져야 한다는 조언도 나옵니다.
[싱크] 이대기 / 한국금융연구원 금융혁신연구실장
“이제 좀 더 전향적으로 예전의 금산분리라는 프레임을 벗어나서 결국 문제가 됐을 때 강하게 징벌하는 체제로, 사후제재 위주로 가는게 더 맞지않나 봅니다.”
상반기에 당국의 정책 윤곽이 나올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금융권도 변화에 대응한 준비에 더 분주해질 전망입니다. 서울경제TV 김미현입니다. / kmh23@sedaily.com
[영상편집 강현규]

김미현 기자 금융부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주요뉴스
주간 TOP뉴스
- 1 [반기성의 날씨와 경제] 잊었던 ‘미세먼지’ 기승 …공기정청기 ‘불티’
- 2 [더쎈뉴스]자영업자 신용대출도 대환…'기준' 마련 필요
- 3 한달간 대출금리 1%p 내린 인뱅들… 인하 언제까지
- 4 전국 미분양 6만8,000호…'위험선' 넘었다
- 5 덕신하우징, 작년 영업이익 약 200억…전년比 394.7%↑
- 6 손병두 한국거래소 이사장, <김혜영의 SEN토크>에서 ‘자본시장 중추역할’ 논의
- 7 GS건설, 작년 신규 수주 16조…창사이래 최고기록 경신
- 8 SK디앤디 에피소드, 글로벌 코리빙 트렌드 리포트 첫 발간
- 9 [인사] 산업은행
- 10 "취약차주에게 희망을"…'KB국민희망대출’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