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행복나눔재단, 난청 아동·이주배경 청소년 문제 해결책 탐구

산업·IT 입력 2024-05-21 16:39 김서현 기자 0개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서울경제TV=김서현 인턴기자] SK그룹의 사회공헌재단 SK행복나눔재단은 대학생이 참여하는 사회문제 해결 교육 프로그램 ‘Sunny Scholar’ 3기가 2번째 단계인 ‘연구 계획 수립’을 마치고 ‘연구 수행’ 단계를 시작했다고 21일 밝혔다.

Sunny Scholar는 사회 문제 탐구와 해결에 관심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활동자는 현장 방문, 문헌 분석, 사회 문제 당사자 인터뷰 등 직간접적인 수단을 동원해 사회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탐구한다. 단순히 사회 변화 활동에 참여하는 경험 단계를 넘어 실질적 해결책을 직접 만드는 ‘주체자’가 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프로그램의 목표다.

올해 진행하는 Sunny Scholar 3기에서 활동자는 5개 팀을 이뤄 8개월간 △연구 준비 △연구 계획 수립 △연구 수행 △연구 아카이빙까지 총 4단계 과정을 수행한다. 이번에 완료한 ‘연구 계획 수립’은 ‘연구 준비’ 단계에서 설정한 사회 문제의 개입 지점과 문제 정의를 토대로 최적화된 솔루션을 고안하고 검증 계획을 세우는 단계다.

활동자는 연구 계획 수립의 결과물 구상을 지난 18일 최종 완료해 공유회를 진행했다. 공유회에서 각자 조사한 주제와 솔루션을 발표했으며, 행복나눔재단 매니저들이 직접 팀별로 피드백을 제공했다.

그 중에서도 ‘셈여림’ 팀은 학령기 난청 아동 학부모가 ‘개별화교육 협의회’ 과정에서 겪는 특수한 어려움에 집중해 눈길을 끌었다고 SK행복나눔재단은 설명했다.

개별화교육 협의회는 특수교육대상자에 맞춘 통합교육 지원방식을 정하는 회의로, 특수교육법에 따라 특수교육대상자에게 의무적으로 이뤄진다. 이는 장애 학생과 교육자의 소통을 도와 더 나은 학습 환경권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다.

특히 난청 학생의 경우 대부분 일반학급에서 생활하기에 특수교사가 아닌 일반교사와 소통해야 하는 어려움을 겪는다. 이런 경우 개별화교육 협의회에 난청 학생의 부모가 참여해 교육 과정의 어려움과 특이 사항을 논의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이뤄지는 협의회에서는 조사서가 난청 학생 위주로 표준화돼 있지 않아 명확한 의견 전달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셈여림 팀은 이 문제에 주목해 난청 학생 부모가 협의회의 조사서를 잘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향으로 솔루션을 기획 중이다.

셈여림 팀을 포함해 이번 프로젝트에서 참가팀이 설정한 주제 5개는 △학령기 난청 아동 학부모의 개별화 협의회 진행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청각장애 맞춤 개별화 교육협의회 조사서 작성 관련 서비스(셈여림 팀) △이주배경 청소년의 진로진학 설계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체류자격’에 초점을 맞춘 진로진학 상담 솔루션 개발(프로퍼 팀) △중도입국청소년의 학습 문해력 지원을 위한 ‘사고도구어’ 학습 중심의 플랫폼 개설(SS901 팀) △낮은 문해력으로 학습이 어려운 농인의 한국어 학습을 위한 수어 기반 한국어 교육 동영상 제작(CoC 팀) △약제 복용 노인을 위한 맞춤형 복약 관리 솔루션 개발(복단지 팀) 등이다.

셈여림 팀을 포함한 5개 팀 모두 이어지는 ‘연구 수행’ 단계에서 솔루션을 실제로 적용하고 검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연구 수행 단계를 마친 후 ‘연구 아카이빙’ 단계에서 총괄 연구 보고서를 작성, 이를 공유하는 것이 Sunny Scholar 3기의 최종 목표다. /bodo_celeb@sedaily.com

기자 전체보기

김서현 기자 보도본부

bodo_celeb@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아시아창의방송

0/250

ON AIR 편성표

0/250

주요뉴스

증권 산업·IT 부동산 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