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포시 "서부권 의료시설 열악, 의과대 목포대가 마땅"

전국 입력 2024-05-23 18:26 신홍관 기자 0개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정부 자료 근거 전남 서부권 취약한 의료 현실" 강조

"서부권 분만·응급의료 취약…반드시 목포대로 선정돼야"

박홍률목포시장, 송하철 목포대 총장, 문차복 목포시의회 의장이 국립의대 유치 관련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사진=신홍관 기자]

[목포=신홍관 기자] 국립 의과대학 유치 관련 전남도가 공모 절차를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목포시가 서부권의 열악한 의료 현실 등의 다양한 논리를 내놓아 첨예한 대립을 벌이고 있는 동부권의 향후 입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박홍률 목포시장과 송하철 목포대학교 총장, 문차복 시의회 의장은 23일 목포대학교 국립 의과대학 유치를 위한 공동 기자회견을 가졌다. 동부권의 순천대가 응모 불가를 선언함에 따라 단독 응모가 예상되는 목포대에 대한 당위성을 높이는 다양한 논리를 폈다. 


목포시는 지난 34년간 정부에 목포대 국립 의과대학과 대학병원 유치를 요구해 왔고, 지난 3월 전남도 민생토론회에서의 윤석열 대통령의 언급과 한덕수 국무총리의 의료 개혁 대담화문을 통해 전남 국립의대 설립이 현실화됐다는 판단이다.


현재 전남도는 정부 추천 대학을 공모로 선정하기 위한 관련 절차를 준비하고 있고, 이에 박홍률 시장은 전남도의 공모방식 입장을 존중하는 의견과 함께 더 이상 도민의 생명권이 경시되지 않도록 국립 의과대학 설립 절차는 계획한 일정에 따라 차질 없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목포시와 목포대는 이날 정부의 공식자료를 근거로 전남 서부권의 취약한 의료현실을 객관적으로 분석했다면서, 목포시를 포함한 전남 서부권은 동부권에 비해 명백한 의료 취약지임을 밝혔다. 


먼저 전남 서부권은 동부권에 비해 분만 및 응급의료 취약지임을 강조했다. 전남 동부권은 6개 시·군 중 4개 시·군이 분만 취약지이고 3개 시·군이 응급의료 취약지이지만, 서부권은 10개 시·군 중 목포를 제외한 9개 시·군이 분만 및 응급의료 취약지임을 설명했다. 


이어 의료수요가 더 제한된다고 설명했다. 의료취약계층인 65세 이상 노인비율 및 치매환자 수, 증증장애인 비율이 전남 서부권이 더 높으며, 경제적으로는 서부권 지역 내 총생산이 동부권의 37.5% 수준이고 재정자립도는 더 낮아 상대적으로 공공의료분야 재정투입에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지리적으로는 서부권이 동부권보다 면적이 더 넓고 도서지역이 많아 응급상황시 보건의료서비스 등이 전박적으로 취약한 상황임을 강조했다. 


셋째로는 의료자원 접근의 곤란성을 꼽았다. 전남 서부권의 전체 의료기관 및 의사 수가 동부권에 비해 부족하며 전문병원의 경우 서부권에는 없는 산재전문 종합병원이 동부권에는 운영 중이라고 설명했다. 


서부권의 경우 대학병원 등 상급종합병원의 기준시간 180분 내에 접근 불가능 인구비율도 높아 생명권 보장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피력했다. 


그러면서 환자 응급 이송이 더 곤란하고 의료서비스 이용이 더 제한된다는 내용도 덧붙였다.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해 발생하는 OECD기준 치료가능 사망률이 서부권은 약 50%에 육박해 동부권 및 전남 평균보다 높았으며, 시·군 행정구역 기준 관외진료비는 서부권이 2,171억원 더 많아 관외 의료비 유출도 더 심각하다는 설명을 이어갔다. 


마지막으로는 산업재해 및 근골격계 질환 위험성이 전남 서부권이 더 크다는 분석결과를 얘기했다. 


고용노동부 재해율 분석 결과 목포지청 관할 9개 시·군은 0.92%로 여수지청 관할 시·군 평균인 0.59%, 전국 평균인 0.65%보다 더 높은 수치였다고 설명했다.


전국적으로 재해율이 높은 지역은 대부분 광업, 조선업 등 노동집약적 산업이 발달한 지역이며, 향후 풍력발전기 조립, 해상풍력 발전단지 건설 예정 지역인 목포·해남·신안 등은 재해율이 더 상승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박홍률 시장은 “공공보건의료기관인 국립의대 및 국립대학병원은 정부 공식 지표로 확인 된 전국 최고 의료취약지에 설립 하는 것이 지역 완결적 의료체계 구축과 도민 전체의 건강권과 생명권이 확보되는 방안이다”고 말하며, “지역민의 오랜숙원인 국립 의과대학 및 대학병원이 꼭 목포대에 설립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전남권 의과대학 공모지표 개발·평가시에 전라남도 균형발전지표 개발·활용에 관한 조례를 준용하여 지역 균형발전지표를 반영하여 줄 것을 전라남도에 건 의한다”고 밝혔다 


송하철 목포대 총장은 “전남도의 공모절차에 대한 법적인 문제의 소지는 없다고 판단하며, 국민의 생명은 똑같이 소중한 것이기 때문에 동부권에도 대형병원 설립 필요성은 인정하나, 어느 지역을 국가가 먼저 나서서 국립 의과대학을 설립해 주민들의 생명을 지켜야 하느냐의 문제이기에 반드시 목포대에 의과대학이 설립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문차복 의장은 “지역민의 오랜 숙원인 목포대학교로 의과대학이 유치될 수 있도록 목포시와 목포대학교, 목포시의회가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고 밝혔다. /hknews@sedaily.com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신홍관 기자 보도본부

hknews@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아시아창의방송

0/250

ON AIR 편성표

0/250

주요뉴스

증권 산업·IT 부동산 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