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DI “올해 실질구매력 증가로 민간소비 개선”

경제 입력 2024-05-13 13:13 정창신 기자 0개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사진=게티이미지]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실질구매력 정체로 부진했던 실질 민간소비가 올해는 나아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 마창석 연구위원과 정규철 실장은 1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고물가와 소비 부진: 소득과 소비의 상대가격을 중심으로라는 제목의 현안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 위기 당시 벌어졌던 실질 국내총생산(GDP)과 실질 민간소비 간 격차는 위기가 종식된 작년에도 여전히 좁혀지지 않고 있다. 특히 2022년 이후 실질구매력이 정체돼 실질 민간소비 부진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과 지난해 소비자물가는 연평균 3.9% 상승했지만 GDP 디플레이터는 연평균 1.7% 오르는 데 그쳤다. 2022년에는 국제유가 급등으로, 작년에는 반도체 가격이 급락하면서 소비 대비 소득의 상대가격이 하락한 것이다.

 

이는 실질구매력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했고, 2022년과 지난해의 실질구매력 증가율은 각각 -0.5%, 0.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는 올해는 반도체 가격 상승으로 상대가격이 올라 민간소비 부진도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국제유가(두바이유 기준)가 연간 6% 상승하고 반도체 가격은 37% 오른다고 설정한 시나리오에서 상대가격은 0.5% 상승할 것으로 분석됐다.

 

정규철 실장은 반도체 가격이 올라가면 소득은 늘어난다라며 반도체 가격이 소비자물가에는 그렇게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쓰는 제품 가격은 그대로인데 소득금액이 커지면 소비 여력이 늘어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연구는 올해 경제성장률이 작년(1.4%)보다 높은 2%대 중반으로 전망된다는 점도 실질구매력 개선에 긍정 요인으로 꼽았다. 다만 고금리는 여전히 민간소비 회복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라 단기적인 민간소비 부양책이 필요하지 않다는 게 연구의 주장이다.

 

마창석 연구위원은 부양책이 오히려 현재 안정화되고 있는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라며 중장기적 안목에서 실질구매력을 높일 수 있는 구조개혁 정책에 더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csjung@sedaily.com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정창신 기자 산업1부

csjung@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아시아창의방송

0/250

ON AIR 편성표

0/250

주요뉴스

증권 산업·IT 부동산 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