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자열 무협 회장 “韓, 아세안‧중동 특별한 동반자…미래 지향적 협력해야”

산업·IT 입력 2023-10-06 08:17 수정 2023-10-06 08:18 정창신 기자 0개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아세안·중동 대사단 초청 네트워킹 만찬’ 개최

구자열 한국무역협회 회장. [사진=한국무역협회]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한국무역협회(KITA)는 지난 5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아세안중동 대사단 초청 네트워킹 만찬을 개최했다고 6일 밝혔다. 이 자리에서 주한 대사단과 각 국 경제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한 의견 교환과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지지를 요청했다.
 

이날 만찬에는 아세안 및 중동 21개 지역 주한 대사와 외교관 35여 명이 참석했으며, 한국 측에서는 구자열 회장을 비롯한 무역협회 회장단 및 이사상사 대표 20여 명이 참석했다.

 

만찬사에서 구자열 회장은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가진 대한민국은 미래 시대를 준비하는 역동적인 아세안과 중동의 특별한 동반자라며 한국은 아세안 중심성에 대한 확고한 지지를 바탕으로 역내 자유와 평화, 번영을 위해 아세안 국가들과 긴밀히 소통하고 있고, 중동 국가들과는 스마트 시티, 신재생 에너지 등 인류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신산업 분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 회장은 앞으로도 중동아세안 지역과 함께 세계의 공동 번영과 상생 발전을 도모하며 상호 호혜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협력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러한 차원에서 전 세계적으로 마주한 위기와 도전을 함께 극복해 가며 미래 비전을 공유하는 2030 부산세계박람회는 세계 시민의 자유와 평화, 번영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라면서 각국의 지지를 당부했다.

 

한국무역협회가 지난 9월 무역업계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 기업인들은 아세안과 중동 두 지역 모두가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 발전에 대한 큰 기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10명 중 9(90.5%)은 아세안이 중요한 시장이라고 응답했으며, 중동 지역 역시 기업인의 78.8%가 중요하다고 응답해, 두 지역에 대한 우리 기업의 중요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한국과 아세안의 관계는 약간 좋음(51.5%), 중동과의 관계는 보통(47.1%)이라는 응답이 다수를 차지해 두 지역의 중요도에 비해 현재 관계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향후 두 지역의 관계는 개선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중동의 경우 60.9%, 아세안의 경우 79.2%로 나타나 우리 기업은 관계 개선에 대해 큰 기대를 하고 있었으며, 이를 위해 한류를 활용하거나 인적 교류를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우리 기업은 큰 내수시장과 높은 성장 가능성이 아세안중동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가장 큰 이유라고 답했으나, 해당 지역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법령회계세제 관련 어려움이 진출의 걸림돌로 작용한다고 응답했다.

 

특히 혈연, 왕족, 국가 주도산업의 비중이 높은 국가의 경우 기업 자체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하는 만큼, 정부 및 민간단체 주도의 경제 협력 채널 구축과 기업 참여 확대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에 한국무역협회는 주한 대사단 초청 네트워킹 행사를 정례적으로 개최하며 우리 기업과 주한 외교 사절 간 교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민간 통상 외교 기반 마련 및 경제 협력 확대를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네 차례의 대사관 초청 네트워킹 행사를 개최한데 이어 지난 9주한 중앙아시아유럽라틴아메리카 대사단 초청 네트워킹 만찬을 개최하며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홍보와 민간 교류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csjung@sedaily.com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정창신 기자 산업1부

csjung@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아시아창의방송

0/250

주요뉴스

증권 산업·IT 부동산 금융

주간 TOP뉴스

ON AIR 편성표

0/250

주요뉴스

증권 산업·IT 부동산 금융